버스 분실물 찾는 방법, 대중교통 이용 중에 물건을 잃어버리면 정말 당황스럽습니다. 순간 긴장을 해서 어떻게 하면 물건을 찾을 수 있는지 잘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중에 발생한 분실물은 지하철, 버스, 택시 등 교통수단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당황하지 않고 이것만 기억하고 있으면 빠르게 잃어버린 물건을 찾을 수 있겠습니다.
목 차 |
|
버스 분실물
1. 버스 번호
2. 하자 정류장
3. 승하차 시간
시내버스 02-414-5005, 마을버스 02-3142-3002, 지역 내 버스 차고지에 연락하여 버스번호 등을 신고하면, 분실물 습득 확인 후 차고지에 방문하여 분실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차고지 | 위치 | 전화번호 |
도봉 | 도봉구 도봉로 961 | 954-4610 |
진관 | 은평구 통일로 1190 | 350-6700 |
은평 | 은평구 수색로 24길 19 | 355-5855 |
상암 | 마포구 가양대로 117길 | 376-2300 |
강서 | 강서구 개화동로 8길 17 | 2662-4971 |
양천 | 양천구 신정로 7길 17 | 877-1112 |
난곡 | 관악구 난곡로 93 | 867-9113 |
송파 | 송파구 헌릉로 869 | 431-1762 |
장지 | 송파구 충민로 6길 61-29 | 400-2332 |
강동 | 강동구 아리수로 426 | 429-3108 |
중랑 | 중랑구 신내역로 25 | 494-7307 |
도봉산 | 도봉구 도봉산길 50 | 955-2321 |
우이 | 강북구 삼양로 648 | 908-4551 |
정릉 | 성북구 보국문로 145 | 943-4030 |
문래 | 영등포구 선유로3길 9 | 2677-0405 |
온수 | 구로구 온수동 60 | 2613-6003 |
가산 | 금천구 벚꽃로 56길 76 | 873-8730 |
독산 | 금천구 벚꽃로 136 | 805-0176 |
시흥1 | 금천구 시흥대로 33 | 2637-4047 |
시흥2 | 금천구 금하로 737 | 803-0119 |
소하 |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273 | 805-5038 |
신림2 | 관악구 신림로7나길 20 | 873-8730 |
신림3 | 관악구 신림로 98 | 873-8730 |
염곡1 | 서초구 양재대로 254 | 793-8181 |
염곡2 | 서초구 양재대로 254-11 | 2293-7262 |
면목 | 중랑구 면목로 230 | 491-0205 |
수택 |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 167 | 031-558-4255 |
장안 | 동대문구 장안동 319-1 | 975-4794 |
용산 | 용산구 한강로3가 40-1051 | 469-7911 |
지하철 분실물
1. 열차 칸 번호
2. 탑승 플랫폼 번호
지하철 분실물 센터를 연락하여 열차 승하자 시간대 및 열차 번호를 확인하면 열차 상태를 확인하여 분실물 회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담당 호선 | 센터명 | 소재역(호선) | 위치 | 연락처 |
1·2호선 | 시청유실물센터 | 시청역(2) | 지하 2층 | 02-6110-1122 |
3·4호선 | 충무로유실물센터 | 충무로역(4) | 지하 2층 | 02-6110-3344 |
5·8호선 | 왕십리유실물센터 | 왕십리역(5) | 지하 1층 | 02-6311-6765, 8 |
6·7호선 | 태릉유실물센터 | 태릉입구역(7) | 지하 3층 | 02-6311-6766, 7 |
1호선 (서울역 ~ 청량역 이외 구간) |
한국철도공사 | 철도고객센터 | 1544-7788 |
7호선 (까치울 ~ 석남 구간) |
인천교통공사 | 인천시청역 유실물센터 | 032-451-3650 |
9호선 | 서울시메트로 | 동작역 유실물센터 | 02-2656-0009 |
지하철 유실물 분실물 빨리 찾는 방법, 역무원이 알려주는 알짜정보
지하철 유실물 분실물 빨리 찾는 방법, 역무원이 알려주는 알짜정보입니다. 서울교통공사 발표자료를 보면 서울 지하철에서 습득한 유실물이 작년에 10만 건이 넘었으며, 가장 많은 지하철 유실
blog.namugift.com
기차 분실물
1. 역사 안에서 분실 또는 열차 하차 직후 분실을 알게 된 경우는 즉시 역무실에 신고한다.
2. 열차 승차 중에 알게 된 경우에는 승무원에게 신고한다.
3. 분실한 사실을 이후에 알게 된 경우에는 경찰청 'LOST112' 확인, 또는 철도고객센터(1544-7788) 또는 유실물 센터로 문의한다.
택시 분실물
1. 영수증을 받았다면 영수증에 시간, 택시사업자, 전화번호로 확인을 한다.
2. 카드(신용, 체크, 티머니)로 결제한 경우에는 1644-1188, 1644-0088로 전화하여 카드번호 입력 후 조회하면 결제택시 차량번호와 운전자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다.
3. 영수증이 없고, 카드결제가 아닌 경우에는 서울시 대중교통 통합분실물센터 또는 경찰청 'LOST11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청 다산 콜센터 120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1. 개인택시
시도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홈페이지에서 각각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홈페이지에 시도별 조합 홈페이지와 연락처가 있습니다.
2. 법인택시
지역 | 법인택시 | 홈페이지 |
서 울 | 02-2033-9200 | http://www.stj.or.kr |
부 산 | 051-462-4651 | http://www.bstaxi.co.kr |
대 구 | 053-765-4111 | http://www.dgt.or.kr/main |
인 천 | 032-466-5101 | http://www.itaxi.or.kr/ |
광 주 | 062-676-8031 | http://www.kjtaxi.or.kr |
대 전 | 042-527-1241 | http://www.djtaxi.com |
울 산 | 052-274-9998 | |
경 기 | 031-255-7881 | |
강 원 | 033-253-4244 | |
충 북 | 043-252-5701 | |
충 남 | 041-853-4841 | |
전 북 | 063-254-1443 | http://www.jbtaxi.co.kr/ |
전 남 | 062-673-2922 | http://cafe.daum.net/taxitaxi |
경 북 | 053-742-6528 | |
경 남 | 055-288-3311 | |
제 주 | 064-722-0274 |
맺음말
대중교통 이용 중에 분실한 물건을 찾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지하철, 버스, 택시 등 교통수단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분실물이 발생하였을 때 당황하지 않고 위에서 살펴본 주의사항을 기억하고 있으면 잃어버린 물건을 빠르게 찾을 수 있겠습니다. 택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카드결제를 하시고 영수증을 보관해야 합니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다산콜센터 120번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버셜보험 특징과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3.12.06 |
---|---|
갱신형 보험 비갱신형 보험 장단점 및 선택방법 (0) | 2023.12.05 |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 다음 국립국어원 사람인 인크루트 잡코리아 한눈에 보기 (0) | 2023.12.01 |
지하철 유실물 분실물 빨리 찾는 방법, 역무원이 알려주는 알짜정보 (0) | 2023.11.23 |
kbs mbc sbs obs 방송편성표 및 종편 완벽정리 (0) | 2023.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