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균임금 계산방법 산정방법 자동계산기 평균임금 계산방법 산정방법 자동계산기 정보입니다. 평균임금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월간에 그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평균임금은 실제로 제공된 근로에 대하여 실제로 지급받은 임금의 1일 평균치를 말하는 것으로 평균임금은 퇴직금이나 업무상 재해에 따른 재해보상금 등을 산정할 때 기준으로 이용하는 임금 개념입니다. 평균임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평균임금이란? 1.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 제19조 1항에서는 "이법에서 평균임금이라 함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월간에 그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평균임금은 실제로 제공된 근로에 대하여.. 2023. 8. 27.
통상임금 계산방법 산입범위 자동계산기 통상임금 계산방법 산입범위 자동계산기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통상임금은 각종 법정수당(시간외 근로수당, 휴일 근로수당, 연차 근로수당, 월차근로수당 , 해고수당, 생리수당 등)을 계산하는 기준입니다. 통상임금을 간혹 일부의 회사에서는 이러한 각종 법정수당을 기본급만을 기준으로하여 지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통상임금을 잘 알아두어 임금에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통상임금 자동 계산기 바로가기 통상임금의 구성 통상임금에는 기본적으로 기본급과 각종 수당으로 구성되어집니다. 그러나 월급여 명세서에 나와있는 모든 수당이 다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통상임금 법기준 근로시간 또는 그 이내에서 정한 근로시간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기본급 임금 노조와의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에 의하여 근.. 2023. 8. 27.
연차휴가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연차휴가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는지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연차휴가는 회사를 1년 이상 근무해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1년 미만 근무자도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휴가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연차휴가는 어떻게 발생하나요? - 1년을 계속 근로한 근로자가 근로기준법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받게 되는 유급휴가입니다. - 회사에 입사를 한 시점부터 1년을 근무한 경우에 해당하는 1년의 근무기간 동안 80% 이상 출근했다면 15일 연차가 발생하여 유급휴가를 받게 됩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 근무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1년간 80% 미만의 출근을 했다면, 한 달 동안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미.. 2023. 8. 25.
연차수당 통상임금 계산방법 확실하게 알고 있나요? 연차수당 통상임금 계산방법을 알고 계신가요? 근로기준법 규정을 기준으로 연차수당 계산방법과 통상임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연차수당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연차수당(연차유급휴가)이 무엇인가요? 근로기준법에 따라 발생한 연차를 만약 근로자가 1년 동안 사용하지 않게 되면 자동소멸됩니다. 사용하지 못한 연차유급휴가는 연차수당으로 대신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연차수당은 무조건 지급하는 것이 아닌 회사의 내부규정(연차휴가 사용촉진 여부)에 따라 지급여부가 달라집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차수당 계산방법 - 1일 통상임금 X 미사용 연차일수 - 미사용연차수당은 100% 지급받을 수 있는 수당이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회사가 .. 2023. 8. 25.